닫기
과정 구분
과정 카테고리
태그
검색어

공지사항

ESG학습생태계 구축 주민자치 평생학습포럼 개최

  • 작성자최고관리자
  • 작성일2024.07.02
  • 조회수245
  • 신고하기

 

 

 

ESG 학습생태계 구축을 위한 주민자치 평생학습포럼

 

□ 일  시 : 2023. 11. 24.(월), 15:00~18:00


□ 장  소 :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(서소문청사 2층)


□ 주  관 : 이영실 의원(환경수자원위원회), 서울평생교육원


□ 주  제 : ESG 학습생태계 구축을 위한 주민자치 평생교육의 활성화와 실천방안 마련


□ 진행사항

시 간

내 용

진 행

비 고

15:00∼15:05(5‘)

기념촬영

기념촬영 및 장내정리

사회:박재준 박사

15:05∼15:40(35‘)

개회

개회선언, 국민의례, 내빈소개

◦ 이영실 환경수자원위원회 위원

인사말및축사

◦ 김현기 서울특별시의회 의장

◦ 송재혁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

◦ 봉양순 환경수자원위원회 위원장

◦ 오세훈 서울시장(영상축사)

◦ 전상직 (사)한국주민자치학회장

15:40∼16:40(60‘)

주제발표

◦ 이관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객원교수

좌장:주정호 박사

16:40∼17:25(45')

자유토론

◦ 이용규 공학박사 호서대학교 교수

◦ 강혜미 교육학박사 세종직업교육거점센터장

◦ 김향균 교육학박사 순복음대학원대학교 부총장

◦ 최수연 교육학박사 서울평생교육원 원장

◦ 천재홍 공학박사 한국환경연구원 책임전문원

17:25∼17:30(5')

폐회

폐회 및 장내정리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□ 발언자의 발언요지

구분

발표자

내용

발 제

이 관 춘

교육학박사
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

객원교수

- 포럼 발제는 <ESG 생태계 구축을 위한 평생학습의 인식론적 전환>이다. 발제의 핵심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.

첫째, ‘세계경제 질서의 세 글자 혁명, ESG’ / 둘째, ‘발등의 불’ 기업의 ESG 경영 / 셋째, ‘Seoul eSG’선언으로 ESG 생태계를 구축하고, ‘주민자치 eSG’ 인프라 활용과 ‘평생학습 eSG’의 실천이다.

- 시대정신으로서의 ESG 관점에서 볼 때, 앞으로 세계는 ‘ESG 전’과 ‘ESG 후’로 구분될 것이라는 것을 강조하면서 이번 발제에서는 특히 ‘Seoul eSG’의 선제적인 선포 및 추진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 시점이며 ‘Seoul eSG’의 선언을 통해 ESG 학습 활동가와 전문가를 적극 발굴하고 양성할 것을 제안하였다.

토 론

이 용 규

공학박사

호서대학교 교수

- 기업경영의 ESG뿐만 아니라 근본이 되는 시민의 자발적 ESG참여를 통한 성숙한 ESG환경 구축이 필요하다.

- 시민의 ESG 학습을 통한 자발적 혁신을 통해 사회 및 기업의 ESG환경을 구축하여 지속발전 가능한 환경의 토대 마련이 필요하다.

- ESG 학습생태계를 위한 진단도구 개발과 평가도구 개발이 필요하며, 구체적으로 프로그램(컨텐츠)에 ESG 영향평가 대한 진단 도구와 학습생태 교육 기관의 ESG 영향평가 평가도구 그리고 학습생태 참여자의 ESG 영향평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.

- 이번 포럼의 주제에 맞게 “ESG 학습생태계 구축을 위한 주민자치 평생학습”이 필요하고, 이를 체계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현상을 진단하고 평가하여 ESG 학습생태계의 수준을 향상시켜 인적자본을 늘려가는 것이 필요하다.

강 혜 미

교육학박사

세종직업교육거점센터장

- 코로나 시대를 거치고, AI시대가 도래하면서 학습자(시민)들은 디지털 러닝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변화가 일어났다. 이제 AI가 지배하는 세상속에 AI가 할 수 없는 영역에서 ESG 학습생태계 구축은 평생학습을 통한 인식론적 전환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드는 것이라 생각된다.

- 이제 시민들이 ESG학습생태계 구축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환경을 생각하고,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, 민·관이 함께 만드는 투명한 거버넌스를 구축해나가야 할 것이다.

- 발제문에서 제안한 ‘Seoul eSG’를 서울특별시가 이번 기회에 선제적으로 선포를 한다면 지방에서도 앞다퉈 새로운 eSG가 생겨나지 않을까 하는 제안을 해본다.

김 향 균교육학박사

순복음대학원대학교 부총장

- ESG실천공동체 구축을 통한 “서울시 25개 자치구 426행정동에 ESG 실천프로젝트”와 시민들의 성장 경험을 제공하는 “실천적 학습 프로젝트”를 실현할 수 있는 정책에 관심을 가질 것을 강조하였다. ESG에 대한 지식의 공유와 ESG 학습을 통해 성장하는 공동체를 구현할 수 있는 서울시의 구체적인 정책이 실현되기를 기대한다고 하였다.

최 수 연

교육학박사

서울평생교육원 원장

- ESG는 이제 기업은 물론 모든 시민을 위한 서울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공생∙공존의 당위적 요청임을 강조하였다.

- ESG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‘ESG 학습생태계 구축”이 선행되어야 하며, ESG 학습생태계 구축을 통해 ESG 패러다임으로의 인식전환 및 실천 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.

- 나아가 모든 시민을 위한 ESG 평생학습 촉진 및 학습생태계 구축 당위성을 강조하고 ESG에 대한 인식개선 및 실천을 위한 ESG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.

천 재 홍

공학박사

한국환경연구원 책임전문원

- 산업통상자원부에서 ‘공급망 K-ESG 가이드라인’ 발표('22.12.)

- 정보보호는 사회영역 32개 항목중 ‘정보시스템 구축’과 ‘개인정보 침해 및 구제’로 2개 진단항목으로 구성

- ESG 정보보호 학습생태계 구축을 위한 제언으로 ESG관점에서 정보보호 대응체계 마련, 효과적인 정보보호 대응을 위한 교육 강화가 필요함.

Quick